"이 포스팅은 제휴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 수급 중 이사 전후, 반드시 해야 할 일

주거급여 수급 중 이사 전, 주거급여 수급 중에 이사 가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사 후 관할 주민센터에 전입신고하고 변경된 임대차계약서를 제출하시면 수급 자격이 유지됩니다. 오늘은 주거급여 수급 중 이사 전후 반드시 해야 할 일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주거급여 수급 중 이사 전후, 반드시 해야 할 일


주거급여 수급 중 이사 전후 주의 사항


수급 중 이사 전 반드시 해야 할 일


주거급여 지급일은 매월 20일입니다. 그런데 이사를 하는 경우 전입일에 따라 지급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전입일이 15일 이전이면 이전 임대차 계약 기준으로 지급액이 결정되며 전입일 16일 이후면 이후 임대차 계약 기준으로 지급액이 정해집니다.

서울시 1인 가구 기준임대료는 341,000원입니다. 임대료 500,000원인 집에서 300,000원인 집으로 이사 간다고 가정하면, 15일 전에 전입신고를 하면 해당 월 주거급여를 300,000원을 받게 되고, 16일 이후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341,000원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이사 준비를 할 때 기왕이면 더 유리한 날짜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거급여 수급 중 이사 후 반드시 해야 할 일


이사 후에는 반드시 해야 할 일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 주민센터 전입신고
  • 관할 주민센터 사회복지과에 변경된 임대차 계약서 제출
  • 이사전 받던 다양한 감면 혜택 신청(전기료, 가스 요금 감면등)

이후에는 LH에서 주택 조사를 실시합니다. 주택 조사는 실제 거주하는지와 계약서상 주소지와 실 주소지가 맞는 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문 조사를 합니다. 보통 이 기간이 20일에서 40일 정도 소요됩니다. 주택 조사가 완료되기 전에는 기준임대료의 60%를 지급하며 나중에 소급해서 지급합니다.

주거급여 수급 중 이사 전 주거급여 수급 중 반사 정책 다운로드

2024년 기준으로 서울시 1인 가구의 경우 204,600원을 상한선으로 지급합니다.

그리고 이사 전 받던 전기료, 가스 요금 감면 등 다양한 감면 혜택을 재신청하셔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이용하시면 일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거급여 주급 중 이사 전후, 해야 할 일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거급여 관련 놓치지 말아야 할 정보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