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제휴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 모의 계산 5단계 완성

주거급여 지급 금액은 가구원 수, 주거 급지, 소득인정액, 주거급여 및 생계급여 선정기준액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2024년부터 인상된 지급액과 새롭게 바뀐 지급 기준을 반영하여 소득인정액 계산부터 천천히 주거급여 모의 계산 5단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주거급여-모의-계산-5단계-완성-썸네일

주거급여 모의 계산 5단계

주거급여 중 임차 급여 즉, 매월 임대료를 지원하기 위해 지급하는 금액은 ‘기준임대료 – (소득인정액 – 생계급여 선정기준액) x 0.3’의 계산값과 실제 임대료 중에 작은 금액으로 정합니다. 따라서 산출식의 각 항목 값을 계산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7단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선정기준액보다 작으면 기준 임대료와 실제 임대료 중 작은 금액을 지급액으로 정합니다. 그리고 아래 계산 과정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는 1인 가구를 기준으로 계산하겠습니다.

1. 주거급여 대상 여부 확인을 위한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기

2024년 주거급여 선정 기준은 중위소득 48% 이하이며 가구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선 이하여야 합니다. 가구원 수 별 중위소득 48%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가구는 소득인정액이 1,069,654원 이하여야 주거급여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구분1인 가구2인 가구3인 가구4인 가구5인 가구6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48%
1,069,654원1,767,652원2,263,035원2,750,358원3,213,953원3,656,817원
2024 가구원 수에 따른 주거급여 선정기준,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2. 기준 임대료 확인하기

기준임대료는 거주하는 급지에 따라 그 금액이 다릅니다. 2024년 가구원 수와 급지에 따른 기준임대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서울 1인 가구는 341,000원입니다.

주거급여-모의-계산-5단계-완성-기준임대표

3. 소득인정액 계산하기

선정 기준 이하여야 하는 소득인정액은 각종 공제금액을 제외한 소득평가액과 재산 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이것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복지서비스>>모의계산>>기초연금에서 기초연금 계산해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예에서는 소득인정액을 100만원으로 가정하겠습니다.



4. 생계급여 중위소득 선정기준 확인하기

생계급여 선정 기준은 중위소득의 32% 입니다. 2024년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인 가구는 713,102원입니다.

주거급여-모의-계산-5단계-완성-생계급여-선정기준

5. 주거급여 모의 계산 마무리하기

주거급여 산출식을 다시 말씀드리면 ‘기준 임대료 – (소득 인정액 – 생계급여 선정 기준액) x 0.3’ 입니다. 계산해 보면 2024년 서울에 거주하는 1인 가구 주거급여 임차 급여는 341,000 – (1,000,000 – 713,102) x 0.3 = 254,931원입니다.

혹시 모의 계산하는 과정이 어려우셨으면 다시 한번 천천히 읽어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니, 여러분들의 소득인정액을 확인하셔서 계산 과정을 따라가 보시기를 권고드립니다. 그리고 주거급여 지급일은 매월 20일이며 공휴일이거나 주말인 경우 그 전날 지급됩니다.

이상으로 주거급여 모의 계산 5단계와 지급일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 주거급여 관련 놓치지 말아야 할 정보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