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공동인증서 발급 가격이 부담되지 않으세요? 전자거래 없이 단순 은행 업무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만 한다면 무료 공동인증서를 사용해도 됩니다. 오늘 글에선 법인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과 종류, 용도를 한눈에 확인하시고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법인 공동인증서 발급 종류별 용도는?
법인 공동인증서 발급 종류는 총 5가지이고 용도별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꼭 범용 공동인증서를 구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1. 범용 법인 공동인증서
- 모든 전자거래에서 사용 가능
- 공인인증기관(금융결제원, 한국전자인증, 코스콤 등)에서 발급
- 유료로 발급 (1년 약 11만원)
2. 용도제한용 법인 공동인증서
- 특정 용도(예: 금융거래)로 제한되어 사용
-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발급
-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발급
3. 전자세금계산서용 공동인증서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용도로 제한
- 국세청 또는 공인인증기관에서 발급
-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발급
4. 기업 금융인증서
- 금융결제원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유료 사설 인증서비스
- 은행 포함 금융기관 뱅킹서비스 및 전자상거래에 사용
- 1-3년 유효기간, 유료 발급
5.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
- 공동인증서 대신 사용 가능한 대체 수단
- 국세청 홈택스에서만 사용 가능
- 세무서에서 무료로 발급
법인은 필요에 따라 이 중 적절한 인증서를 선택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법인 공동인증서 발급 종류별 발급 방법은?
법인 공동인증서 발급 종류는 5가지로 각각 용도, 유효기간, 발급 방법이 다 다릅니다. 가장 중요한 가격과 사용 범위도 다르기 때문에 사업 규모가 작거나 사업 성격에 따라서 공동인증서를 선택하여서 발급받으면 됩니다.
구분 | 범용 공동인증서 | 용도제한용 공동인증서 | 전자세금계산서용 공동인증서 | 금융인증서 |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 |
용도 | 모든 전자거래 가능 | 특정 용도로 제한 (예: 금융거래)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전용 | 금융거래 및 일부 전자상거래 | 홈택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전용 |
유효기간 | 1년 | 1년 | 1년 | 3년 | 제한 없음 |
발급비용 | 유료 (약 11만원/년) | 무료 또는 저렴 | 무료 또는 저렴 | 무료 | 무료 |
발급기관 | 공인인증기관 | 은행 등 금융기관 | 공인인증기관 | 금융결제원 | 국세청 |
발급방법 | 공인인증기관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거래 은행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공인인증기관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은행 앱 또는 인터넷뱅킹 | 세무서 방문 신청 |
사용범위 | 가장 광범위 | 제한적 | 제한적 | 금융권 중심 | 매우 제한적 (홈택스만) |
보안성 | 높음 | 높음 | 높음 | 매우 높음 | 중간 |
편의성 | 중간 | 높음 |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용도에서 금융거래와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만 한다면 저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많이 있습니다. 만약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이 주목적이라면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를 무료로 발급받아 유효기간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제 법인은 부동산 법인이라 전자세금계산서를 굳이 발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금융인증서만 발급받아 사용합니다. 금융거래가 인증서의 주목적이거든요.
저처럼 전자계약 같은 거래가 없다면 굳이 범용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지 않아도 사업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발급방법 상세:
1. 범용 공동인증서:
- 공인인증기관 웹사이트에서 신청 후 구비서류를 제출
- 대면 확인 필요 (법인 대표 방문 또는 대리인 방문)
2. 용도제한용 공동인증서:
- 거래 은행 지점 방문 또는 인터넷뱅킹을 통해 신청
- 일부 은행은 모바일 앱을 통한 발급도 지원
3. 전자세금계산서용 공동인증서:
- 공인인증기관 웹사이트에서 신청
- 구비서류 제출 후 온라인으로 발급 가능
3. 금융인증서:
- 은행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신청
- 본인인증 후 즉시 발급 가능
4.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
- 가까운 세무서 방문
- 신분증과 함께 신청서 제출
- 즉시 발급
법인 공동인증서 발급 종류별 가능 업무 비교
법인 공동인증서로 할 수 있는 업무를 범용 공동인증서를 기준으로 가능 여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업무 | 범용 공동인증서 | 용도제한용 공동인증서 | 전자세금용 인증서 | 금융인증서 |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 O | X | O | X | O (홈택스에서만) |
금융거래 | O | O (발급 은행에서만) | X | O | X |
전자입찰 | O | X | X | X | X |
4대보험 업무 | O | X | X | X | X |
국세청 홈택스 이용 | O | X | O | X | O (일부 기능) |
전자정부 민원서비스 | O | X | X | X | X |
기업인터넷뱅킹 | O | O (발급 은행에서만) | X | O | X |
증권거래 | O | O (증권사 발급 시) | X | O | X |
기업용 모바일뱅킹 | O | O (발급 은행에서만) | X | O | X |
공공기관 업무 | O | X | X | X | X |
참고사항
- 범용 공동인증서는 모든 용도로 사용 가능합니다.
- 용도제한용 공동인증서는 주로 발급 기관의 서비스에 한정되어 사용됩니다.
- 전자세금용 인증서는 국세청 관련 업무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 금융인증서는 주로 금융 거래에 사용되며, 일부 공공서비스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 전자세금계산서용 보안카드는 홈택스에서의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에 한정되어 사용됩니다.
이 표는 일반적인 사용 범위를 나타내며, 실제 사용 가능 여부는 각 서비스 제공 기관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법인 공동인증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5가지 법인 공인인증서 발급 종류가 있고 사업 성격에 따라 저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인증서가 있음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공인인증서가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끼셨던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